티스토리 뷰
사업자를 내시는 분들은 사업자등록신청을 하시게 되는데요, 여기서 정해야하는것이 업종코드입니다. 워낙 업종 코드라 함은 그 종류가 많이 때문에 당황하실 수 있는데요,
먼저 이 코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업종코드는 6자리숫자로 나타내지는데요, 이 코드를 가지고 내 사업이 어떤 종목으로 영위가 되고있는지 판단이 됩니다.
이 업종에 따라서 세금에 관련된 세액공제가 다르게 책정이 될 수도 있고요, 세금 감면이나 세금혜택등의 적용이 달라지게 되죠.
사업자등록 업종조회 하는 방법은 국세청 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간단하게 하실 수 있는데요, 요즘에는 세금납부를 인터넷으로 많이 하시기 때문에 익숙하실 것 같습니다.
홈택스 사이트로 들어가신후 조회를 눌러서 계속 진행을 합니다.
사업자등록 업종조회를 하시기 위해서는 기타조회 메뉴를 보시면 되는데요, 오른쪽 하단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너무 많은 목록이 있어서 헷갈리실 수 있는데요, 제가 화살표로 표시해둔 경비율보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계속 진행하시면 이렇게 업종 종목과 코드를 조회하실 수가 있는데요, 업종은 이제 사업자를 등록하실 때 어떤걸로 해야겠다 생각해두신것이 있으실텐데요,
예를 들어서 사업자등록시 일반적인 음식업종이라 하면 업종에 한식을 넣어보겠습니다. 조회하기를 눌러서 계속해주세요
그럼 이렇게 업종코드 6자리 숫자가 나오는데요, 업종종목과 세분류명, 세세분류명으로 나오게 됩니다. 한식 일반 음식점의 적용범위 및 기준은 백반류, 죽류, 찌개류 등이 될 수 있구요, 육류요리전문점인 경우에는 쇠고기, 돼지고기등 육류취급이 되겠죠
소매업으로 업종코드를 조회를 해보았는데요, 정말 많은 종류의 소매 업종이 조회되어 나옵니다. 한가지를 선택해서 계속진행을 해보면요,
기준경비율코드는 업종코드를 말하는 것이구요, 선택하신 업종 종류의 상세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사업자등록 업종조회시 사업자등번호로 무슨 업종인지 조회할 수 있나요?
사업자등록번호로는 이 사업자가 법인이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지 또는 개인사업자인지 조회는 가능합니다. 사업자 번호의 앞쪽의 세자리는 국세청의 번호이며 중간의 두자리로 개인인지 법인인지 구분이 가능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사업자등록번호로 업종및 업종종목 또는 업종코드는 알수가 없습니다.
댓글